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7 |
8 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
15 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
22 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29 | 30 | 31 |
Tags
- 디지털 포렌식 개론
- #휘발성 데이터 수집
- forensic
- msfconsole
- webhacking.kr
- volatility
- metasploit
- msf
- #포렌식
- #webhacking.kr
- 디포전
- Memory
- Kali
- kali linux
- #라이브 리스폰스
- 웹해킹.kr
- 디포전2급
- 디지털포렌식전문가
- Encase
- #live response
- LOB
- z3alous
- #휘발성
- 포렌식
- 모의 해킹
- 디포
- 디지털포렌식
- #system
- 볼라틸리티
- #lob
- Today
- 64
- Total
- 114,792
Lucete
고정 소수점 본문
오랜만에 포스팅을 합니다.
군인인지라 <- 이건 핑계
공부를 하다보니 고정 소수점이 .. 약간이해가 안가나? 가나? 일단 쓴다.
이제 포스팅을 하면서 공부를 해야겠다.!
일단 고정 소수점이란 소수점을 사용하여 고정된 자리수의 소수를 나타내는 것이다. -위키님-
근데 고정 소수점이 뭐하는 놈 인고 하니 연산을 할때 쓰는데 ....
그럼 고정 소수점 연산은 ? 정수 데이터의 표현과 연산에 사용하는 방식이다.
이를 좀더 자세히 알아보니 음수를 표현하는 방법이 3가지로 나타낼 수 있는데
첫째는 부호화 절대치 ...
둘째는 1의 보수 ...
셋째는 2의 보수 ...
이렇게 3개다...
먼저 부호화 절대치를 보면 양수 표현에 대한 부호 비트만 1로 바꾸는 방법이다.
(양수는 0 음수는 1 로 표현)
최상의 비트를 보았을 때 1 or 0 보면 된다. 예를들어
0000 <- 양수
1000 <- 음수
Okay?
다음은 1의 보수, 2의 보수 !!
일단 보수가 뭔지 알아보자
보수 ? 어디서 들어봤는데 .... 음
쉽게 설명하면 양수에 대한 음의 값이다.
예시를 들면 3-2=1 이걸 나타낼 때 3+(-2)=1 ==> 이는 2의 보수값으로 음의 정수가 된 것이다.
1의 보수와 2의 보수를 보면
즉 그림에서 보이듯이 1의 보수는 전부 뒤집어서 양수로 전환하고
2의 보수는 1더해서 올려주면 된다.
'Security Study > Base Of Comput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고정 소수점 (2) | 2018.09.26 |
---|
2 Comments